DATACASE 경제/산업/기업

    경제/산업/기업

    1-16. (강연) 기업조직 활성화, 코칭 - 박월서 대표



    베스트 메니지먼트 포럼(2023년 12월) 강연내용 재구성


    기업조직 활성화, 코칭

    박월서 대표(더오름HR컴퍼니)




    베스트 매니지먼트 포럼 2023년 12월 서울 세미나의 세 번째 세션은 ‘기업조직 활성화, 코칭’ 테마입니다. 코칭분야에서 아주 오랜 기간 몸 담고 계셨고 국내 코칭분야의 장인으로 활동하고 계신 박월서 대표님(자기주도적 자산관리연구소)을 모시고 세미나 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코칭 장인으로서의 연륜이 느껴지는 강의내용 탓인지, 강연 집중도가 아주 높았고 조직 내 코칭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본 챕터에서는 박월서 대표님의 강연 내용 중 핵심적 내용들 위주로 리뷰해보고자 합니다. 본 내용은 강연내용을 토대로 포럼 운영팀에서 자체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경영은 만들어가는 것이다


    경영의 아버지라 불리는 피더 드러커의 명언 중 하나가 ‘경영은 예측하는 것이 아닌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기업을 경영하는 것은 현재에서 더 바람직한 미래로 가기 위한 과정입니다. 여기서 우리의 조직은 지금 이대로가 충분한 바람직한 상태인지, 아니면 변화가 필요한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의 조직, 괜찮은가요?


    경영을 복잡성을 다루는 영역이라고 한다면, 리더십은 급격한 변화를 다루는 능력입니다. 즉, 경영의 영역과 리더십에서 필요로 하는 활동은 다릅니다. 피터 드러커의 기업이론의 3요소는 예전부터 지금까지 오랜 기간동안 조직이론에서 주목 받고 있는데, 바로 환경, 사명, 핵심역량입니다. 좋은 기업은 구직자가 원하는 기업의 조건인데 좋은 인재는 기업이 원하는 인재의 조건입니다. 좋은 기업에서 좋은 인재들이 일을 하려면 코치형 리더가 필요합니다. 조직이나 기업환경은 과거 안정 지향성에서 변화를 추구하고 있고, 과거 통제 문화에서 자율적 스피드 있는 소통과 의사결정, 그리고 획일성에서 다양성이나 창조성을 중시하는 방향입니다. 따라서 과거에는 독보적 능력을 가진 리더가 추진력으로 이끄는 조직문화에서 이제는 소통을 통한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리더십이 필수적 요소입니다. 따라서 코치형 리더 역시 리더의 필수 자질이 되겠습니다.



    당신은 관리자인가요, 리더인가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아직 국내 기업 문화는 여전히 위계적, 수직적 조직구조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통제중심의 관리자는 조직의 리더로서 역량이 제한적일 수 있고 현재 조직이 요구하는 리더의 요건으로는 변화와 미래, 전략 등의 방향성에서 조직 구성원이 자율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략의 수립과 변화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능력이 되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의 비전과 조직의 목표 등이 정확히 공유되어야 하고 조직원들이 그들의 강점과 잠재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소통과 동기부여, 지원과 격려, 그리고 피드백 등을 추진해야 합니다.



    코칭리더십이란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목표를 설정하도록 동기를 유발하고, 그들의 강점과 잠재역량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수평적 리더십을 의미합니다. 만약, 조직이 불합리한 의사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구성원간 이질성을 인정하지 않는 조직 문화가 된다면 성과를 극대화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코칭리더십이 발휘되려면 우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긍정적 신뢰관계, 구성원들의 자발적 태도, 잠재력 개발 의지 등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나의 노력으로 타인을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을까요?


    나의 노력으로 타인을 ( )% 변화시킬 수 있을까?

    성과를 발휘하는 팀의 3가지 심리적 요소로 알려져 있는 것이 자율성, 역량, 관계성입니다. 이는 관련 학자의 오랜 기간 연구에 의해 이들 요소가 조직의 심리적 요소로 부각되어 왔으며, 이러한 요소들의 심리적 충족감이 조직 내 성과를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결국, 리더 한 사람의 노력으로 타인을 100%변화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과연 얼마만큼만 변화시킬 수 있다면, 조직 내 성과를 높일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구성원은 어떤 실수나 실패를 해도 비난 받지 않고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때 스스로가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코칭리더십을 통해 이러한 조직문화를 이끌어내어야 할 것입니다.



    .......중략((주)우아한형제들 직원행동 사례 설명)


    - 자세한 내용은 [Datacase 카탈로그]에 게재된 내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칼럼 full-text 제공 문의]

    홈페이지 우측 카카오채널 배너 클릭